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당뇨수치 기준 알아보기

나나나이잉 2025. 8. 22. 16:48

목차



    반응형

    당뇨병은 혈액 속 포도당(혈당)의 수치로 진단하게 됩니다. 그러나 단순히 “혈당이 높다”는 표현만으로는 당뇨를 정확히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공복혈당, 식후혈당, 당화혈색소(HbA1c) 등 다양한 지표를 함께 살펴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요즘엔 간단히 집에서 채혈하여 체크 가능합니다. 오늘은 당뇨병을 구분하는 주요 수치 기준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공복혈당(FPG, Fasting Plasma Glucose) 기준

    • 정상 : 100mg/dL 미만
    • 당뇨 전단계(공복혈당장애) : 100~125mg/dL
    • 당뇨병 : 126mg/dL 이상 (두 번 이상 검사 시 동일하게 높아야 확진)

    공복혈당은 최소 8시간 이상 금식 후 측정하는 수치입니다. 아침에 아무것도 먹지 않은 상태에서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식후 2시간 혈당(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기준

    • 정상 : 140mg/dL 미만
    • 당뇨 전단계(내당능장애) : 140~199mg/dL
    • 당뇨병 : 200mg/dL 이상

    이 검사는 포도당이 포함된 음료(75g)를 마신 뒤 2시간 후 혈당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당이 몸에서 얼마나 빠르게 처리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당화혈색소(HbA1c) 기준

    • 정상 : 5.6% 이하
    • 당뇨 전단계 : 5.7% ~ 6.4%
    • 당뇨병 : 6.5% 이상

    당화혈색소는 최근 2~3개월간 평균 혈당을 반영하기 때문에, 단발성 수치보다는 장기간 혈당 관리 상태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그래서 당뇨 진단 및 치료 경과 확인에 널리 사용됩니다.


    4. 표로 정리한 당뇨 수치 기준

    구분정상당뇨 전단계당뇨병
    공복혈당 < 100mg/dL 100~125mg/dL ≥ 126mg/dL
    식후 2시간 혈당 < 140mg/dL 140~199mg/dL ≥ 200mg/dL
    당화혈색소(HbA1c) ≤ 5.6% 5.7~6.4% ≥ 6.5%

    5. 당뇨 수치 관리 포인트

    1. 공복혈당만 보지 말고 세 가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2. 당뇨 전단계에서 관리에 실패하면 수년 내 당뇨로 진행될 확률이 높습니다.
    3. 꾸준한 운동과 식이조절을 통해 당화혈색소를 6.5%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마무리

    당뇨병은 수치 기준으로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꾸준히 관리해서 정상 범위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정기적인 혈당 검진을 통해 변화를 체크하고, 당뇨 전단계에서도 적극적인 생활습관 관리가 필요합니다. 조기 관리가 평생의 건강을 좌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