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뇌혈관 질환이란

나나나이잉 2025. 8. 1. 12:32

목차



     

     

    심뇌혈관질환은 우리 몸의 핵심 기관인 심장과 뇌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근경색증, 협심증, 심부전증과 같은 심장질환과 뇌졸중(뇌경색·뇌출혈) 등의 뇌혈관질환을 포함합니다.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만성질환은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선행질환입니다. 심뇌혈관질환은 국내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기온 변화가 심한 여름과 겨울에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집니다. 계절별 원인과 관리법, 그리고 응급 대처 방법을 알아봅니다.

     

     

    기온 변화와 심뇌혈관질환

     

    혈관은 기온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수축과 확장을 반복합니다. 이 과정이 심장과 뇌혈관에 부담을 주며, 여름철과 겨울철 모두 위험도가 상승합니다.

     

    1. 여름철

     

    • 발생 원인: 땀 배출로 인한 탈수 → 혈액 농도 증가 → 혈전 생성 위험 증가
    • 혈관 팽창과 혈류 속도 저하, 실내외 온도 차로 인한 급격한 혈관 수축
    • 폭염 지속 시 사망률 급상승(기온 1℃ 상승 시 사망률 3%↑)

     

    관리법

     

    • 폭염 노출 최소화
    • 규칙적 수분·전해질 섭취 (카페인·당분 음료는 피하기)
    • 적정 실내온도 유지, 통기성 좋은 옷 착용
    • 운동 강도 조절, 실내 운동 권장
    • 급격한 냉수 접촉 피하기

     

    2. 겨울철

     

    • 발생 원인: 찬 공기 → 교감신경 자극 → 말초혈관 수축·혈압 상승·심박수 증가
    • 혈액 점도 증가 및 혈소판 활성화 → 혈전 형성 촉진
    • 심뇌혈관 사망률 12~2월 최고치

     

    관리법

     

    • 적정 실내온도 유지, 보온 강화
    • 실내 운동 습관화
    • 균형 잡힌 식사·따뜻한 음료 섭취
    • 정기적인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점검
    • 심뇌혈관질환 예방 9대 생활수칙 실천

     

    심근경색증 & 뇌졸중 조기증상

     

    심근경색증

     

    •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압박감
    • 턱·목·어깨·왼팔 통증
    • 호흡곤란·식은땀·창백
    • 의식 혼돈

     

    뇌졸중

     

    • 얼굴·팔·다리 힘 빠짐
    • 말 어눌해짐·의사소통 장애
    • 시야 흐림·복시
    • 심한 두통·어지럼증

     

    응급상황 시 대처

     

    • 즉시 119 신고 후 응급실 이송
    • 증상 저절로 완화돼도 즉시 병원 방문
    • 이동 시 응급차 이용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9대 생활수칙

     

    1. 금연
    2. 절주
    3. 저염·균형 잡힌 식사
    4. 규칙적인 운동
    5. 적정 체중·허리둘레 유지
    6. 스트레스 관리
    7. 정기검진(혈압·혈당·콜레스테롤)
    8. 만성질환 관리·약물치료 지속
    9. 응급증상 숙지 및 신속 대응

     

    심뇌혈관질환은 계절적 위험 요인을 잘 관리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입니다. 평소 꾸준한 관리로 여름과 겨울 모두 건강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